반응형
입학식이 끝나고 시작된 첫 수업에서는 여러 종류의 전선접속을 배웠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qMAh/btqAy2jr7Dj/tsjsw5x6chA0WOSealtoL0/img.jpg)
강의실 건물 벽에는 여러 종류의 전선 접속에 대해서 실습 모형이 붙혀있었습니다 전선접속 실습을 직접 하고나서 저 모형들을 보니 어떻게 저렇게 잘 만들어 놨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PkN6/btqArhufckO/phInrJRXFQH9XPRrakGdvK/img.jpg)
가장 먼저 만들어본 건 고리형 단자였는데 전선의 피복을 일정부분 벗겨내고 동그랗게 만들어야 하는데 모양이 일그러지고 생각보다 쉽지 않았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mmWg/btqAxOQ125W/4GKuCeM0t9KkQVNDKlK2e1/img.jpg)
그냥 전구 소켓이라고만 알고있었는데 리셉터클이라 불리는 이 기구에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고리형 단자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dg8T/btqAuxu93Rb/IZlTKyB3dSoq75kFVL39E1/img.jpg)
피복을 적당히 남기고 본선에 분기선을 감아야 하지만 역시 처음 해봐서 피복을 너무 많이 벗겨놔서 피복을 벗겨놓은 부분이 많이 남고 또 잘못 잡고있으면 피복이 손상되기도 했습니다.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KiTv/btqAtcFfOzK/IXLNrgSALhlGOCGfTAhhQ1/img.jpg)
브리타니어 접속은 중간에 첨선을 넣어 첨선으로 고정을 시키고 마지막 마무리에 5번 정도 감아줘야 하는데 첨선의 길이 조절도 어렵고 첨선을 넣어 접속할 두 선을 고정시키는 것도 힘들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vb2I/btqAtc6mGvc/ywCBElQoLAYTrqmAqe2rLK/img.jpg)
전선의 굵기를 스퀘어(SQ)라 하는데 점점 굵기가 굵어질 때마다 전선 피복도 두꺼워지고 구리선도 굵어져 전선을 펴는것도 피복을 벗기는것도 힘들어졌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yHIm/btqAt6kf1Vr/bGWyjZ8mkn2hPJTk0Bq9M1/img.jpg)
전선의 가운데에 고리형 단자를 만드는 연습을 하기도 했습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SDnI/btqAy2iYLeW/i0AmmbqeGU1jMLyQegFcbK/img.jpg)
가운데에 고리형 단자를 만든 전선은 두개의 리셉터클을 같은 전선으로 접속해야 할 때를 위해서 만든거였습니다
반응형
'경기도기술학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도기술학교 :: 전기제어, 전기설비 교육과정 (0) | 2020.08.10 |
---|---|
경기도기술학교 :: 면접 및 입학식 (14) | 2020.08.08 |
경기도기술학교 :: 식당 식단기록 (1) | 2020.08.06 |
경기도기술학교 :: 국가자격시험장 안내 (0) | 2020.08.05 |
경기도기술학교 :: 2020년 신입생 모집 [1년과정, 주말 단기과정] (0) | 2020.08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