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경기도기술학교 수업3

경기도기술학교 :: 전기제어, 전기설비 실습 경기도기술학교 전기제어 1년 과정을 하면서 실습할때 사용했던 실습 재료들 입니다회로도를 보고 실습을 할때 사용하는 기구들의 내부 결선도 입니다 각 기구에 맞게 베이스를 선택해서 고정 시킨 후 베이스 번호에 맞게 결선 후 기구를 꽂고 동작을 시키게 됩니다 이 재료들은 회로도 외부에 사용되는 재료들 입니다 맨 왼쪽에 위 아래로 파이프 커넥터(플렉시블전선관, PE전선관)와 전원 케이블 커넥터 그리고 스위치와 램프 부저입니다 위에 있는 재료들은 금속관 실습을 할때 사용했던 공구와 재료들입니다 타이머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입력을 부여하면, 정해진 시한이 경과한 후에 그 접점이 폐로 또는 개로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원이 투입되면 a접점과 b접점이 교대 점멸 되며 점멸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경보 신호용 및 교대점멸 .. 2020. 8. 12.
경기도기술학교 :: 전기제어, 전기설비 교육과정 경기도기술학교에 처음 지원할때 전기제어와 전기설비 사이에서 어떤 과정을 선택해야하나 고민을 했었습니다 수업을 시작하게 되면서 교육과정에 대해 설명을 듣고나니 두 가지 사이에서 쓸데없는 고민을 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.. 담당 교수님만 다를 뿐 전기제어와 전기설비의 교육과정은 같았기 때문입니다 1학기 수업은 전기기기, 전기설비, 기초공학, 전기이론, 직업생활, 체육, 3D, 실습 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실습을 제외한 이론 수업을 들을땐 전기제어, 설비반 할거없이 한 강의실에 모여서 수업을 받았습니다 같이 모여서 수업을 받으니 반은 나뉘어 있어도 서로 친해질 기회가 많았습니다 전기제어, 전기설비 반마다 각 강의실이 있는데, 실습은 각 강의실에서 이뤄졌습니다 초반 실습땐 이해하고 따라하기 바빴던거 같.. 2020. 8. 10.
경기도기술학교 :: 수업일지 [전선접속] 입학식이 끝나고 시작된 첫 수업에서는 여러 종류의 전선접속을 배웠습니다 강의실 건물 벽에는 여러 종류의 전선 접속에 대해서 실습 모형이 붙혀있었습니다 전선접속 실습을 직접 하고나서 저 모형들을 보니 어떻게 저렇게 잘 만들어 놨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장 먼저 만들어본 건 고리형 단자였는데 전선의 피복을 일정부분 벗겨내고 동그랗게 만들어야 하는데 모양이 일그러지고 생각보다 쉽지 않았습니다 그냥 전구 소켓이라고만 알고있었는데 리셉터클이라 불리는 이 기구에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고리형 단자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피복을 적당히 남기고 본선에 분기선을 감아야 하지만 역시 처음 해봐서 피복을 너무 많이 벗겨놔서 피복을 벗겨놓은 부분이 많이 남고 또 잘못 잡고있으면 피복이 손상되기도 했습니다.. 브리타니어 접속.. 2020. 8. 8.